영화 아이 캔 스피크는 유머와 감동 그리고 사회적 논평이 잘 어우러진 영화입니다. 김현석 감독의 이 영화는 2017년 개봉했습니다. 영화는 맨 처음에 관객들이 예상했던 대로 흘러가지 않습니다. 가벼운 유머로 시작했다가 마지막에는 많은 관객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내용으로 마무리됩니다. 나문희, 이제훈 주연의 아이 캔 스피크는 젊은 공무원과 그에게 영어를 배우는 할머니와의 뜻밖의 우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영화가 특별한 이유는 코미디 영화에 가슴 아픈 역사적 사건을 유려하게 엮었기 때문입니다. 이 영화는 코미디 영화로 포장한 용기와 정의에 대한 작품입니다. 한국의 역사적 상처를 너무 무겁지 않고 쉽게 풀어낸 영화 아이 캔 스피크는 남녀노소 모두에게 공감을 받을 수 있는 작품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 영화가 왜 볼 만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뜻밖의 우정
영화 아이 캔 스피크는 맨 처음에는 코미디 영화처럼 보입니다. 공공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민원을 제기하는 도깨비 할머니로 불리는 나옥분 할머니가 주인공입니다. 영화 초반부터 거침없는 입담과 아무 곳에나 참견하는 오지랖으로 관객들을 웃게 만듭니다. 그러던 그녀가 이제훈이 연기한 지역구에 새로 전입 온 공무원 박민재를 만나면서 이야기는 다른 방식으로 전개됩니다. 영어를 배우겠다고 결심한 나옥분은 영어학원을 열심히 다니지만 좀처럼 실력이 늘지 않습니다. 마침 같은 학원에 다니던 박민재가 영어를 잘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나옥분은 그에게 영어를 가르쳐달라고 조릅니다. 맨 처음에는 거절하던 박민재는 그의 동생이 나옥분 할머니에게 가끔 밥을 얻어먹으며 신세를 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영어를 가르쳐주기로 결심합니다. 이 과정에서 깐깐하고 정 없는 박민재와 끈질긴 할머니의 대조적인 모습이 부각되며 코믹한 순간들을 만들어냅니다. 맨 처음에는 서로 별로 좋아하는 사이가 아니었으나 영어 수업을 하고 옥분의 사연을 알게 되면서 둘의 관계는 점점 진정한 우정으로 거듭납니다.
위안부에 대한 이야기
아이 캔 스피크는 코미디 영화처럼 보여 많은 사람들이 쉽게 보기 시작하는 작품입니다. 하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더 깊은 이야기가 드러납니다. 나옥분 할머니는 흔히 위안부라고 불리는 일본군 전시 성노예의 생존자였습니다. 그녀가 영어를 배우기로 한 이유는 사실 미국에서 열리는 공청회에서 일본인들의 만행을 폭로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전 세계에 알리고 싶어서였습니다. 영화는 코미디에서 가슴 아픈 이야기로 섬세하게 전환됩니다. 그러면서 오랫동안 침묵 속에서 아픔을 짊어지고 살아온 위안부 여성들의 이야기를 조명합니다. 역사적 중요성이 평가절하되거나 유머에 가려지지 않도록 세심하게 제작되었습니다. 영화 아이 캔 스피크는 많은 위안부 할머님들이 돌아가셔서 증언하실 분들이 별로 남지 않은 상황의 심각성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가슴 아픈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나서서 함께 정의를 위해 싸워야 한다고 말합니다. 관객들은 옥분이 영어로 연설하는 장면에서 눈물을 흘리며 개인적 피해를 공적인 자리에서 증언함으로써 그들의 상처가 치유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뛰어난 연기
나문희는 나옥분 역을 맡아 유머러스한 현재의 나옥분과 트라우마를 간직한 채 살아간 나약한 나옥분을 동시에 연기해 냈습니다. 그녀는 엄청난 고통을 안고 있으면서도 불굴의 의지로 정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인물을 훌륭하게 표현해 냈습니다. 그녀의 훌륭한 연기는 옥분의 캐릭터에 진정성을 부여했습니다. 그래서 관객들은 그녀에게 깊이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나문희의 연기 덕분에 영화의 후반부 장면은 더욱 임팩트 있게 다가왔습니다. 실제 위안부 할머니가 증언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하여 관객들이 실제로 위안부 이야기에 관심을 갖도록 만들었습니다. 이제훈의 박민재 연기는 냉정한 공무원에서 옥분의 진정한 친구로 변하는 모습을 훌륭하게 연기해 냅니다. 두 주연 배우의 연기는 이야기에 깊이를 더합니다. 진화하는 두 사람의 관계는 진솔하게 보입니다. 김현석 감독의 이야기를 풀어가는 능력은 매우 훌륭하여 유머와 감동이 함께 잘 느껴집니다. 그래서 위안부 영화지만 많이 무겁게 느껴지지 않아서 모든 관객들이 영화를 쉽게 접할 수 있었습니다. 설교적으로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많은 관객들이 더 공감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결론
영화 아이 캔 스피크는 단순한 코미디 영화가 아닙니다.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정의를 위해 용기를 낸 여성의 이야기이며 그런 여성을 돕는 젊은 남성과의 진정한 우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사실 영화의 박민재는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들을 대표하는 인물입니다. 위안부 사건이 남의 일이라고, 지나간 일이라고 냉정하게 지나가지 말고, 내 옆에 있는 어떤 이의 이야기일 수 있기 때문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영화는 넌지시 말하고 있습니다. 위안부 사건은 지나간 이야기가 아닙니다. 아직 일본은 위안부 할머니들께 진정한 사과를 한 적이 없습니다. 정부에 위로금이라며 몇 푼 던져주고 끝날 이야기가 아닙니다. 할머니들이 바라는 것은 돈이 아니라 진정한 사과일 뿐입니다. 그 사과만이 그녀들을 편히 눈감을 수 있게 합니다. 이제 많이 노쇠해지신 할머니들과 진정한 우정을 나눌 누군가를 찾습니다. 우리가 박민재가 되어 그녀들과 인간적인 우정을 나눌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