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 애스터 감독의 미드소마(2019)는 현대 공포 영화의 한 획을 그은 영화입니다. 불안한 분위기와 기억에 남는 테마로 유명한 이 영화는 전형적인 공포영화와 달리 어두운 밤이 아니라 대낮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 채도가 낮은 어두침침한 색 대신 채도가 높은 생생한 색채를 사용하여 기괴한 공포를 일으킵니다. 영화는 겉에서 보기에는 컬트적인 공포 영화로 보이지만, 사실 미드소마는 슬픔, 관계, 인간 심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영화는 아름다운 장면과 공포를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관객들을 불안하지만 매력적인 영화로 빠져들게 합니다. 이 글에서는 영화의 주제적 깊이와 시각적 상징성, 그리고 현대 호러 장르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핵심 주제
미드소마는 주인공 다니가 슬픔을 겪는 과정을 따라갑니다. 다니(플로렌스 퓨)의 동생은 다니를 제외한 모든 가족을 살해합니다. 이러한 비극으로 인한 상실감은 다니를 깊은 절망에 빠뜨립니다. 남자친구 크리스찬(잭 레이너)은 이런 다니를 잘 위로해주지 못하고 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애스터는 이러한 개인적인 비극을 통해 외로움, 의존성, 소속감 찾기라는 주제를 다룹니다. 다니는 크리스찬과 그 친구들에 의해 목가적인 스웨덴의 작은 마을 호르가에 가게 되는데, 여기에서 그녀는 지금까지 가졌던 심리적인 긴장감을 살짝 내려놓을 수 있었습니다. 또 아름다운 마을의 풍경과 사람들에게서 치유되는 경험을 하기 시작합니다. 호르가의 의식은 매우 끔찍했는데 이는 오히려 일종의 집단적 카타르시스를 주어서, 마음이 약한 상태의 다니는 이 의식들에서 평안을 얻습니다. 이 영화는 슬픔이 어떻게 사람을 변화시키고, 맹목적인 소속감을 찾을 때 위험하고 예측할 수 없는 상태로 빠질 수 있다는 것을 인상적으로 표현합니다.
영화 내의 상징
전통적인 공포 영화에서는 어둠이 공포의 주요 수단입니다. 무언가 보이지 않을 때 생기는 공포를 자극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애스터는 그 틀을 뒤집기로 합니다. 영화 전체가 밝은 대낮을 배경으로 진행됩니다. 스웨덴의 작은 마을 호르가는 하지 때에 해가 거의 지지 않기 때문에 늘 낮입니다. 영원한 대낮의 사용은 혼란스러우면서도 최면에 걸린 듯한 느낌을 줍니다. 밤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위험에 대한 공포보다, 오히려 영원히 벗어날 수 없을 것 같은 대낮이 더 공포스럽습니다. 미드소마의 비주얼은 눈을 즐겁게 합니다. 복잡한 무늬로 꾸며진 의상, 꽃들, 제의적 패턴으로 모든 장면에 의미를 부여합니다. 흔히 생명과 재생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꽃과 자연의 이미지는 죽음과 부패를 상징하는 것으로 바뀝니다. 꽃으로 장식된 다니가 5월의 여왕이 되는 장면은 죽음과 폭력이 반대로 재생을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을 상징하는 대표적 장면입니다. 또한 이 영화는 환각적인 비주얼을 사용하여 현실과 환상을 혼합하여 보여줍니다. 관객들은 다니가 된 것처럼 무엇이 현실인지 환상인지 분간하기 어려워집니다. 이처럼 빛과 아름다움을 공포의 원천으로 만다는 것은 상당히 독특한 방식입니다. 아리 애스터의 능력은 새로운 공포를 창조해 낸다는 것에 있습니다.
영화의 공포 요소
아리 애스터는 초자연적 공포를 자극하는 것도 잘 하지만, 인간의 깊은 감정에서 비롯된 공포를 끌어내는 것도 잘합니다. 그의 전작 유전과 마찬가지로 미드소마 역시 심리적인 공포를 잘 활용합니다. 이 영화의 진정한 공포는 사이비 종교의 기이한 의식에서 오는 것이 아닙니다. 다니와 크리스티안 사이의 감정적 공백이 만드는 것입니다. 말을 하지 않는 단절과 내면의 분노로 가득 찬 두 사람의 관계는 잔인한 의식만큼이나 끔찍한 것입니다. 그래서 이 영화의 공포는 두 가지로 유발됩니다. 한 가지는 호르가의 의식이라는 외부에서 오는 공포입니다. 다른 하나는 다니의 감정 붕괴 상태입니다. 영화 전반에 걸쳐 애스터는 친구들 사이의 긴장감을 세심하게 구성하여, 그들의 관계에 균열을 은은하게 보여줍니다. 크리스찬의 이기심, 다니의 연약함, 친구들의 소극적인 무관심은 모두 영화의 불안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데 일조합니다. 호르가의 끔찍한 의식들이 그들을 감정의 소용돌이로 몰아넣는 것 같지만, 사실 다니의 개인적 정체성과 크리스찬과의 관계가 그렇게 만드는 것입니다. 마지막에 다니는 호르가의 방식을 받아들여 호르가의 일원이 되어버립니다. 마지막 장면에서 다니가 크리스찬이 불타는 모습을 보고 미소를 짓는 모습은 다니의 복수를 의미합니다. 그녀는 새로운 가족, 호르가 마을 사람들을 얻었지만 끔찍한 대가를 치러야만 했습니다. 이 영화는 심리적 공포와 초자연적 공포를 동시에 느끼게 하며, 시각적으로 기괴함과 공포를 느끼게 합니다.
결론
미드소마는 전형적인 공포 영화가 아닙니다. 대낮에 공포를 연출하고 아름다움을 공포의 기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다른 공포영화와 차별화를 시도합니다. 아리 애스터는 슬픔, 해로운 관계, 소속감 찾기를 이야기 소재로 삼았습니다. 이는 이 영화를 단순한 컬트 호러 영화가 아니라 심리 스릴러 영화로 만듭니다. 불안한 이미지, 복잡한 인물들, 서서히 고조되는 긴장감은 관객들이 공포를 느끼게 합니다. 미드소마는 트라우마가 어떻게 파괴적이면서 인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영화를 통해 아리 애스터 감독은 가장 혁신적인 공포 영화감독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트라우마를 가진 이들이 가끔은 남들은 이해할 수 없고 기괴한 방식으로 마음의 안정을 얻는 과정을 보여주는 수작입니다.